본문 바로가기

ChemiLOG

[월간 화학] 셀로판의 역사 셀로판의 역사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전 IUPAC 회장) ✒️’월간 화학’은 과학자가 들려주는 화학 이야기로 외부 필진의 화학 칼럼을 전해드리는 코너입니다. 01 최초의 방습 포장용 플라스틱, 셀로판 개발의 시작 첫 방습 포장용 플라스틱인 셀로판의 발명 모든 발명의 배경에는 ‘새로운 필요성을 간파’하는 ‘우수한 발명자’의 ‘노력’이 숨어있다. 셀로판 포장지의 발명과 개발 역사도 마찬가지다. 셀로판 포장지 발명의 시작이 된 사건 셀로판 개발은 1904년, 프랑스의 한 음식점에서 시작되었다. 스위스의 화학자인 브란덴베르거(Jacques Edwin Brandenberger) 박사를 당황하게 만든 사건이었다. 바로 옆 테이블에 있던 한 노신사가 잘못으로 포도주 병을 쓰러뜨려 포도주가 테이블 덮개를 붉게 물.. 더보기
앗 실수, 힝 속았지? 실수로 만들어진 화학 발명품 세상을 변화시킨 위대한 발명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과학자의 부단한 노력과 수많은 시행착오, 그리고 인내의 흔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에는 우연한 실수에서 시작된 것도 적잖이 찾아볼 수 있죠. 오늘은 실수였는데 실수가 아니게 된 발명품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흥미진진한 이야기 속으로 함께 떠나볼까요? 01 노벨의 피땀눈물, 폭파 젤라틴 다이너마이트와 노벨상으로 유명한 과학자 노벨!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수 있다고, 그 역시 실험 중 작은 실수를 통해 위대한 발명을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는 과연 어떤 실수로 무엇을 발견했을까요? 노벨 하면 바로 떠오르는 발명품이 있죠, 바로 다이너마이트입니다! 다이너마이트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니트로글리세린(ni.. 더보기
February? Fe·Br·U·Ar·Y! 열두 달 중 길이가 가장 짧은 달 2월. 2월을 영어로 February라고 하죠. 옛 로마인들에게는 매년 2월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는 의식을 치르는 풍습이 있었는데요, 이러한 정화 의식을 가리키는 라틴어 Februa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February가 화학에 진심인 사람들의 눈에는 원소 다섯개로 보인다고 하는데요, 여러분은 보이시나요? 2월은 Fe·Br·U·Ar·Y, 철·브로민·우라늄·아르곤·이트륨이 모인 달인데요, 오늘은 2월을 이루는 원소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01 지구에서 가장 흔한 금속, 철(Fe) 주기율표 26번에 해당하는 원소 철(Fe)은 라틴어 ferrum(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인류는 철기를 사용하면서부터 농경과 군사력이 크게 발달했고 최초의 국가가.. 더보기
올림픽 정신을 위한 화학 이야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이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여러 국가들의 외교 보이콧 선언,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한 무관중 경기 진행 등 시작 전부터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시끄러운 외부 상황 속에서도 각국 운동 선수들은 묵묵히 올림픽 출전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강하게(Citius, Altius, Fortius)”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올림픽 정신을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과학 원리가 동원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훌쩍 다가온 인류의 메가 이벤트, 올림픽에 담긴 화학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01 꿈의 소재 탄소섬유 개막 D-1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는 성화봉 ‘비양’을 공개하였습니다. 은색의 ‘성화 케이스’는 얼음을, 붉.. 더보기
친절한 촉매 설명서 (2) 이성질체와 촉매의 역할 편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촉매의 정의와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이전 글에서 아직 설명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는 서술의 의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는 서술의 의미와 이것이 촉매의 어떤 역할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본문을 읽기 전에 친절한 촉매 설명서 제 1탄! 정의와 원리 편을 먼저 읽고 오시면 촉매를 완전히 정복할 수 있답니다. 친절한 촉매 설명서 (1) 정의와 원리 편 여러분은 ‘촉매’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만약 자동차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배출가스 저감 장치를 떠올리시거나, 생명과학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 www.ch.. 더보기
눈에 보이지 않던 원자의 발견, 원자론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주위를 둘러보세요. 지금 여러분의 주위에는 무엇이 보이시나요? 그 무엇이 보이든 여러분은 원자들의 결합을 보고 계십니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원자는 그 크기가 아주 작아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기술이 발전하기 이전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원자의 존재를 어떻게 알아차렸을까요? 오늘은 모든 물질의 기본 요소인 원자와 이를 둘러쌌던 다양한 원자론, 그리고 현대 원자 모형의 발견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눈 크게 뜨고, 미세한 원자의 세계로 떠나봅시다. 01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아주 먼 옛날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원자론에 관해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원자’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원자(atom)는 물질을 이루고 있는 기본.. 더보기
매운맛 없이 K푸드를 논하지 말라! 멈출 줄 모르는 한류 열풍을 타고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K-푸드 역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소울푸드에 빼놓을 수 없는 맛이 있는데요, 바로 매운맛이죠. ‘K-푸드를 알려거든 고개를 숙여 불닭볶음면을 맛보게 하라.’는 통과의례라도 생긴 듯 한국의 매운맛을 체험하기 위한 외국인들의 불닭볶음면 도전기는 여전히 유튜브에서도 큰 인기를 끌곤 합니다. 한국인들의 매운 맛 사랑은 세계적으로도 정평이 나있는데요. 마늘과 쑥을 100일 동안 먹으며 버틴 곰의 후손이기 때문일까요? 그만큼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일까요? 오늘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매운맛에 담긴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01 매운 ‘맛’은 없다, 매운 ‘통증’이 존재할 뿐! 기분이 저기압일땐? 고기앞으로 가야죠. 그럼 스트레스 받.. 더보기
스우파 저리 비켜! 춤추는 과학자들, 스트릿 사이언티스트 파이터 작년 한 해, 대한민국을 들썩이게 한 예능 프로그램이 있었죠. 바로, 수많은 유행어를 탄생시키고, 일반인들에게 생소했던 ‘스트릿 댄스’라는 장르를 대중화시킨 Mnet의 (이하 스우파)인데요. 대한민국 여성 댄서들의 뽐과 흥에 겨워 있던 중, 전 세계 과학자들의 뽐을 보여주는 댄스 경연대회가 있다는 흥미로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여러분, 과학자들의 와우 포인트를 확인할 준비 되셨나요? 그럼 함께 떠나봅시다. 잘 봐, 과학자들 싸움이다! 01 MISSION: 당신의 박사학위를 표현하라! 안녕하세요, 과학자들의 댄스 배틀 세계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오늘의 스페셜 MC,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본격적인 경연에 앞서, 이번 댄스 경연대회의 미션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당신의 박사학위를 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