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P

[한토에 Log-in] #10 직무인터뷰 편 | PP연구팀 정현태 프로 한화토탈에너지스 직원들은 어떤 업무를 맡고 있을까요? 이번 직무인터뷰 영상의 주인공은 PP연구팀 정현태 프로입니다😊 연구원 각자 제품을 하나씩 담당해서 개발부터 상업화까지 긴 여정이 걸리는데요. 혁신적인 제품을 내놓기까지 디자인 관점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혁신을 꿈꾸는 디자이너' 미국 대학 박사 출신 연구원이 말하는 PP연구팀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한화토탈에너지스를 선택한 이유는? 우리 함께 #한화토탈에너지스 에 #로그인 해볼까요? 🔽클릭! 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 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케미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그것이 알고 싶다 플라스틱 제품이라면 꼭 표시되어 있는 PP, 혹은 PE. 바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약자인데요. 같은 듯 다른 두 물질은 어떤 특징과 쓰임새를 가지고 있을까요? 한화토탈에너지스의 똑똑이 케미가 알려드려요~ 플라스틱의 대표 주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각자의 특성에 따라 적재적소에 쓰이고 있었네요. PP와 PE 덕분에 전자제품을 튼튼하게,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삶에 꼭 필요한 플라스틱 PP, PE 이야기 재미있으셨나요? 다음엔 어떤 석유화학 이야기로 또 찾아올지 기대해주세요~ 종합 케미칼 & 에너지 리더, 한화토탈에너지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더보기
금속 파이프에서 플라스틱 파이프로 지어진 지 30년이 훌쩍 넘은 집에 살게 된다면 누수와 녹물로 한 번쯤 걱정하게 될 것입니다. 1994년 이전에 지어진 공동주택들은 수도·온수 배관으로 강철로 만든 관이나 구리, 금속 파이프를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금속 파이프가 아닌 플라스틱 파이프를 설치했더라면 필터 교체 비용이나 녹물에 따른 건강 걱정 없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오늘은 금속 파이프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더 편리한 플라스틱 파이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체의 이동통로, 파이프가 궁금하다면? 물, 수도, 가스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종류와 특징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바쁜 도심에서 여기 저기 오고 가다 문득 든 한가지 궁금증! 우리 인간은 도로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액체와 .. 더보기
한화토탈 이은웅 수석 ‘2021 신기술실용화 촉진대회’서 ‘산업포장’ 수상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관하는 ‘2021 신기술실용화 촉진대회’에서 PP연구팀의 이은웅 수석이 유공자로 선정되었다는 기쁜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과연 어떤 공로를 인정받아 유공 포상에 선정되었는지,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01 친환경 전선용 PP 소재 개발 ‘2021 신기술실용화 촉진대회’는 신기술 개발·고부가가치화·국산화·기술교육 및 여건 개선 등 산업기술의 진흥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를 선정해 수여하는 정부 시상식입니다. 2021년 올해는 한화토탈 PP연구팀의 이은웅 수석이 신기술실용화진흥 부문에서 ‘산업포장’ 수상자로 선정되었는데요. 이은웅 수석은 친환경 전선용 PP(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수상자로 선정된.. 더보기
플라스틱, ‘진짜’ 돈이 되다 안녕하세요, 블로그 지기입니다. 종이 지(紙)와 화폐 폐(幣)자를 사용하는 우리나라 지폐는 이름과 달리 종이가 아닌 면으로 만들어집니다. 물론 ‘지폐’라는 단어가 생겨날 무렵에만 해도 지폐는 종이로 만들어졌죠. 하지만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며 이리저리 떠도는 지폐는 진화를 거듭했는데요. 오늘은 종이와 면을 거쳐 이제는 플라스틱으로 업그레이드된 지폐의 숨은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01 플라스틱으로 돈을 만들다니? 조개껍데기부터 곡식, 가축 비단, 향신료, 금속, 은행의 직인이 찍힌 종이 그리고 전자화된 데이터까지! 화폐는 상호 간 신뢰와 합의를 기반으로 하며, 우리의 곁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해 왔습니다. 은행과 같이 화폐의 가치를 인정해줄 장치가 없던 시기에는 화폐 그 자체의 가치가 중요했지만, 세.. 더보기
주사기부터 자동차까지 쓰이는 다양한 폴리프로필렌(PP) 석유화학 제품은 합성을 통해서 플라스틱, 합성고무 등과 같은 우리의 일상 생활 속 다양한 소재를 만드는데요. 기초유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합성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수지를 만드는 게 대표적이죠. 이런 PE, PP 합성수지 앞에 몇 가지 이니셜이 붙어 LDPE, LLDPE, HOMO PP 등 소재 종류가 다양해지는데요. 석유화학 소재는 왜 이렇게 많고, 복잡할까요? 석유화학 소재들의 이름에는 소재가 합성되는 방식과 특징이 담겨있는데요. ‘너의 이름은’ 시리즈를 통해 앞으로 더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다룰 소재는 바로, 편의점 식품 포장 용기 등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입니다! 01 가장 안전한 플라스틱, .. 더보기
한화토탈, 재활용 가능한 전력 케이블용 PP ‘신기술 인증’ 받아!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오늘은 한화토탈이 개발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이 국가기술표준원의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 신기술(New Excellent Technology, NET) 인증 제도는 국가기술표준원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이나 기존 기술을 혁신적으로 바꾼 우수한 기술을 인증하는 제도인데요. 오늘은 한화토탈의 고부가 합성수지 제품 개발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제품, 친환경 전선용 P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한화토탈이 개발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용 PP, 국가기술표준원 신기술 인증 취득! 한화토탈은 16일,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PP)’의 ‘신기술.. 더보기
플라스틱은 항상 딱딱하기만 할까? – [생활 속 과학 이야기 2] 안녕하세요~ 지난번 물 이야기에 이어, 오늘도 생활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오늘의 주제를 소개하기 전 몇 가지 예시를 들어 드릴게요. 1. 껌을 씹으면 말랑말랑 해지는데, 도중에 차가운 음료를 마시면 딱딱해진다 2. 다림질로 옷의 주름을 펴준다 3. 생수병에 뜨거운 물을 넣으면 찌그러지면서 모양의 변형이 일어난다 이것들 간에 공통점을 찾으셨나요? 껌, 옷, 생수병.. 주변에서 너무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이지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 중 상당수가 고분자 물질이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이제부터 고분자의 구조와 성질, 그 중에서도 온도와 관련된 특성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01 고분자란? 먼저 고분자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겠죠? 고분자(高分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