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emiLOG

[과학의 법칙] 맥주는 왜 거품이 나지? 헨리 법칙(Henry's law)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퇴근 후 시원한 맥주 한잔 만큼 간절한 것은 없죠. 맥주가 가장 생각나는 때는 언제일까요? 일과를 마친 저녁? 친구들과의 만남? 시원하고 청량감 넘치는 맥주는 고된 일 후 생각나는 한 잔인데요! 맥주하면 톡 쏘는 맛과 부드러 운 거품이 생각나죠. 바로 이 맥주 거품에는 숨겨진 화학법칙이 있다고 하는데요. 맥주 속 숨겨진 과학의 법칙을 한번 알아볼까요? 01 같은 탄산이지만 맥주만 거품이 나는 이유는? 맥주의 맛을 좌우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거품’인데요. 탄산음료와 같은 탄산이지만 맥주만 거품이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맥주를 만드는 맥아에 있습니다. 맥주는 맥아를 끓여 만든 맥즙에 효모를 넣고 발효시킨 음료입니다. 거품이 나는 이유는 맥아 속에 들.. 더보기
눈길에도 미끄러지지 않게, 스프레이 체인의 원리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이번 겨울은 예년과 다르게 함박눈을 마음껏 볼 수 있는데요. 작년에는 눈 쌓이는 걸 보기 어려웠지만 올해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눈이 도로를 덮고 있습니다. 하얗게 내린 눈이 예쁘기는 하지만 갑작스러운 눈 때문에 퇴근길, 차들이 도로 위에서 헛바퀴를 돌며 옴짝달싹 못하기도 했는데요. 이런 비상사태일 때 스노우 체인이 있다면 위기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스노우 체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스프레이 체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상습 폭설 지역에서 사용하는 금속 스노우 체인 스노우 체인은 소재에 따라 크게 금속, 비금속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종류마다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우선, 원조격인 금속형 스노우 체.. 더보기
함박눈에도 안전한 길거리 책임지는 제설제의 과학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지난 주 내린 함박눈에 많이들 놀라셨을 텐데요. 퇴근 시간에 갑자기 많은 눈이 내려 도로에 차들이 옴짝달싹을 못했죠. 도로의 눈을 녹이기 위해 하루에 뿌린 제설제가 15만톤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만약 제설제가 없다면 녹은 눈이 꽁꽁 얼어 도로가 더 위험해졌을 겁니다. 겨울 도로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쓰이는 제설제! 오늘은 제설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01 싸고 손쉽게 눈을 녹일 수 있는 염화나트륨 우리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제설제는 염화칼슘(CaCl2·2H20)과 소금인 염화나트륨(NaCl)입니다. 이 두 물질은 공통적으로 염소 이온(Cl-)를 포함한 염화물계 제설제인데요. 염화물계 제설제는 제설 능력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 더보기
전기차, 겨울에 연비가 평소보다 더 안 나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포스트 지기입니다. 디젤, 가솔린, LPG 등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가 유럽, 일본 등에서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판매 금지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이에 따른 대책으로 친환경 전기차 보급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전기차 시장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한 걸음 가까이 우리 일상 속으로 들어온 전기차! 오늘은 전기차의 핵심, 배터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전기차는 어떻게 움직일까?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모터를 회전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입니다. 우리가 그동안 타던 내연기관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연소 시켜 구동 에너지를 얻는데요. 전기차에서는 모터와 배터리가 내연기관차의 엔진 역할을 합니다. 전기차의 구동 모터는 내연기관차의 엔진과 달리 주행 중에도 소음과 진동이 거의 발생.. 더보기
의료, 안전, 위생을 책임지는 합성고무 NBR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포스트 지기입니다. 2021년 새해가 이제 막 열흘 남짓 지났는데요. 새해 결심 다들 잘 지키고 계신가요? 새해 결심으로 운동을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아마도 요가매트를 필수로 하나씩 갖고 계실 텐데요. 요가매트를 고를 때 NBR 소재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바로, 우리 일상에서 접하는 석유화학 소재 중 NBR이라는 합성고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홈트부터 병원까지! 생활 속 쉽게 접할 수 있는 NB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으로 만든 합성고무인데요, 우리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소재입니다. NBR은 오일이나 기름에도 잘 상하지 않는 내유성과 잘 닳지 않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더보기
마트에서 쓰이는 석유화학 소재들! [OO안의 석유화학] 필요한 게 있을 때마다 우리가 가는 곳이 있죠? 바로 마트인데요! 일과 후와 주말이면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듯 마트로 향합니다. 지루한 생활의 일부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다양한 볼거리와 재미가 가득한 마트 기행. 무심코 지나쳤던 마트 안에 숨어있는 석유화학 제품의 이야기를 알아볼까요? 01 냉동식품 나에게 맡겨, 냉동 쇼케이스 냉동식품 마니아라면 자주 여닫아 보았을 쇼케이스. 냉동식품은 저온 보관이 필수기에 쇼케이스의 핵심은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재라 할 수 있습니다. 단열재에는 석유 화학 제품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 사용되어 식품이 변질하는 것을 막고 있는데요. 쇼케이스 문을 열 때마다 훅 끼쳐오는 냉기는 석유화학의 호위 속에서 보존돼 온 것이랍니다. 02 시.. 더보기
산화와 환원 – [생활 속 과학 이야기4] 안녕하세요! 이제 곧 하루만 지나면 2021년 새해인데요. 처음부터 매서운 추위로 겨울을 시작하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추운 날 주머니 속에 손난로 하나 쥐고 있으면 손끝에서부터 전해져 오는 따뜻함에 기분이 좋아지지요. 오늘의 ‘생활 속 과학 이야기, 산화와 환원’은 여기서부터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01 휴대용 손난로를 따뜻하게 하는, 생활 속의 ‘산화 반응’ 휴대용 분말 손난로의 주 성분은 철가루(Fe)와 탄소가루(C), 염화나트륨(NaCl) 등인데요. 손난로 포장을 뜯으면 따뜻해지는 과학 원리가 바로 ‘산화’입니다. 밀봉되어 있던 손난로 안의 철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산화 반응해 열이 발생하게 되죠. 우리가 실생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산화 반응은 대부분 공기 중에 항상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자발.. 더보기
내손으로 만드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 인공 눈의 화학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 지기입니다. 크리스마스에 가까워지면서 거리에 울리는 캐럴과 크리스마스트리와 장식에 눈길이 가는 요즘. 비록 코로나19로 예전과 같은 모습은 아니지만, 이름만으로 설레는 크리스마스이브입니다. 크리스마스에 눈이 오는 것을 화이트 크리스마스라고 하죠!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다들 기대하실 텐데요. 만약, 크리스마스에 눈이 오지 않는다면? 집에서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답니다. 바로 ‘인공 눈’을 만드는 방법이죠. 그럼 인공 눈으로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우리 집에서 크리스마스를 즐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01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만드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흔히 ‘인공 눈’ 하면 스키장 제설기로 흩뿌려지는 눈을 상상하기 쉬운데요. 제설기 없이도 간단하게 인공 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