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산화와 환원 – [생활 속 과학 이야기4] 안녕하세요! 이제 곧 하루만 지나면 2021년 새해인데요. 처음부터 매서운 추위로 겨울을 시작하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추운 날 주머니 속에 손난로 하나 쥐고 있으면 손끝에서부터 전해져 오는 따뜻함에 기분이 좋아지지요. 오늘의 ‘생활 속 과학 이야기, 산화와 환원’은 여기서부터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01 휴대용 손난로를 따뜻하게 하는, 생활 속의 ‘산화 반응’ 휴대용 분말 손난로의 주 성분은 철가루(Fe)와 탄소가루(C), 염화나트륨(NaCl) 등인데요. 손난로 포장을 뜯으면 따뜻해지는 과학 원리가 바로 ‘산화’입니다. 밀봉되어 있던 손난로 안의 철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산화 반응해 열이 발생하게 되죠. 우리가 실생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산화 반응은 대부분 공기 중에 항상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자발.. 더보기
화학이 바꿔버린 렘브란트의 <야경>을 복원하는 방법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의 대표적인 화가인 렘브란트. 빛과 어둠을 화폭에 어우러지게 담아내는 ‘키아로스쿠로’라는 기법을 즐겨 사용한걸 걸로 유명한데요. 덕분에 렘브란트의 그림은 화려한 조명이 없어도 마치 주인공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비친 것처럼 집중하게 됩니다. 렘브란트의 여러 걸작 중 은 미술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인데요. 오늘은 렘브란트의 과 미술품 복원과 관련된 화학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01 낮의 모습을 그린 그림, 으로 불리다 렘브란트, , 1640~164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 (출처=위키미디어 커먼즈) 오늘 얘기할 렘브란트의 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배경에 앞선 인물 두 명과, 뒤의 여자 한 명이 밝게 표현돼 눈길을 끕니다. 그런데 이 그림, 밤 풍경이라고 하기엔 등장하는 .. 더보기
한화토탈, ‘제12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 안녕하세요, 한화토탈 블로그지기입니다. 지난 10월 30일 열린 ‘제12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한화토탈 복합소재연구팀 이윤환 팀장과 SM과 송덕재 기장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기념식 이모저모와 함께 두 분 수상자의 수상 공적과 소감을 함께 알아볼까요? 01 ‘제12회 화학산업의 날’ 맞이해, 화학업계 ‘연대와 협력’에 나서다 (사진: 석유화학협회) 지난 10월 30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화학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화학산업인들의 공로를 축하하는 '제12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식'이 열렸는데요. 올해는 코로나19를 고려해 규모를 줄여서 산업통상부장관 및 산·학·연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이 날 행사에서는 한화토탈을 .. 더보기
[석유화학 따라잡기] 석유화학 공장의 숨통, 플레어 스택! 여러분은 석유화학 공장을 생각할 때 머릿속에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올려지시나요? 긴 굴뚝에 피어나는 불꽃을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 굴뚝은 ‘플레어 스택(Flare Stack)’이라고 하는 설비입니다. 굴뚝에서 나오는 불꽃 때문에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시설로 자칫 오해하기 쉬운데요, 플레어 스택은 공정 중 생기는 불완전 연소 가스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막아주는 안전설비입니다. 24시간 꺼지지 않고 계속 운영되는 석유화학 공장의 숨통, 플레어 스택에 대해 알아볼까요? 01 플레어 스택(Flare Stack)이란? 플레어 스택은 석유화학 공정 중 만들어지는 가스 물질을 모아 완전히 연소시켜 안전하게 배출하는 처리 시설입니다. 지상에서 약 100m 이상의 높이에 있는 굴뚝 형태의 철골 시설물로.. 더보기
공항에서 쓰이는 석유화학 소재, 무엇이 있을까요? [OO안의 석유화학] 하늘을 날고자 했던 인간의 꿈이 실현된 뒤로, 비행기는 거리를 넘어 사람과 물류를 움직이는 주요 수단이 됐습니다. 그 거점이라고 할 수 있는 공항은 여행과 출장 목적으로 모여든 인파, 그리고 각종 화물로 북새통을 이룹니다. 코로나19로 잠시 멈춘 세상 속에서 요즘은 일시적으로 활기를 잃은 공항. 언젠가 돌아올 밝을 나날을 상상하면서 석유화학과 함께 북적이던 공항 풍경을 함께 떠올려 볼까요? 01 비행기를 움직이는 동력원, 항공유 공항의 주인공은 역시 비행기입니다. 오늘날 비행기는 이착륙을 반복하며 먼 거리를 잇는 주요한 교통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비행기를 움직이는 동력원은 바로 항공유이고, 이는 원유의 분별 증류 과정에서 추출됩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부터 물류 네트워크까지, 석유화학은 오늘날 창공.. 더보기